: Monthly Issue :stone
Caja Granada
Architect: ESTUDIO ALBERTO CAMPO BAEZA
빛의 ‘임플루비움’ 그라나다(Granada) 시에서 가장 중요한 은행인 카하 헤네랄(Caja General)의 본사가 도시 외곽의 유휴지에 지어졌다.
입방체 구조를 결합한 커다란 입체는 이 새로운 도시 구역에 긴장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 대지의 경사와 바닥의 높이 차를 해결하기 위해, 입방체가 자리한 대지의 경계를 이루는 두 고속도로 사이에 커다란 기단을 만들었다. 이 기단에서, 주차를 비롯한 여타 구조의 문제가 해결된다. 돌을 깎아 만든 듯한 입체 박스는 3 x 3 x 3m의 철근콘크리트 격자로 구성되었고, 이 격자는 건축물의 중심 테마인 빛을 모으는 메커니즘으로도 기능한다. 남쪽의 두 입면은 강렬한 빛을 차단하는 정교한 차양장치인‘ 브리즈-솔레이유(brise-soleil)’로 기능하면서 개방형 사무실 구역에 적절한 조도를 제공한다. 개별 사무실에 면한 북쪽의 두 입면은 북향의 특징인 균질하고 연속적인 빛을 받아들이며, 돌과 유리의 수평 띠들로 덮인다.
진정한‘ 빛의 임플루비움1 (Impluvium)’인 중앙의 실내 중정은 천창을 통해 남쪽에서 들어 오는 빛을 모으고, 설화석고(Alabaster)로 된 요소들에 반사되어 열린 사무소의 조도를 더욱 높여준다. 기능적인 면에서 이 건물은 간결하고, 유연하며, 단순하다.
요컨대 이 건물은 돌과 콘크리트를 깎아 만든 상자로서, 햇빛을 모으는 실내‘ 광정’ 속에 기능 적인 장치를 구축한다. 비스듬하게 들어온 빛은 공간을 대각으로 가로지른다.

글: 알베르토 캄포 바에자


“IMPLUVIUM” of LIGHT In the undefined outskirts of Granada, the central offices of the Caja General, the most significant bank of the city, has been built.
A great semi-cubical volume serves as a reference to tense this new part of the city. In order to resolve the slope of the site and the ground floor level, a great base is created between the two highways that border the site upon which the cubic piece sits. In this podium, parking and future additions are resolved. The emerging, stereotomic, cubic box, is built of a reinforced concrete grid 3 x 3 x 3m, which serves as a mechanism to collect light, the central theme of this architecture. The two southern facades function as a “brise-soleil,” finely shading the potent light, and providing illumination to the areas of open offices. The two northern facades, giving onto the individual offices, receive the homogeneous and continuous light characteristic of this orientation, and are enclosed by stone and glass in horizontal bands.
The central interior courtyard, a true “impluvium of light,” gathers the solid southern light from the skylights and, reflected by the alabaster parameters, augments the illumination of the open offices. Functionally the building has a great compactness, flexibility, and simplicity.
Simply, it is a stereotomic, containing, stone and concrete box, that traps sunlight in its interior to serve a tectonic, contained, box enclosed in an efficient “impluvium of light.” A diagonal space crossed by a diagonal light.

***1 로마 주택의 아트리움(atrium) 가운데 노천구역으로, 빗물이 떨어지는 부분.

Written by Alberto Campo Baeza





About material ‘stone’ Interview with Alberto Campo Baeza Is there any particular reason for using stone as main material for this project?
The project of [CAJA GRANA DA] proposes a big box in concrete on a podium also in concrete. But the interior, like a GEODA, was elaborated with more exquisite materials, with STONE. The two big walls are madein ALABASTER and the floor and the interior podium are in ROMAN TRAVE RTINE. I thought and I still think STONE is really adequate and just for this interior receiving the LIGHT from the SUN. I like a lot the STONE to materialize this idea.

How did the materiality, feeling and details of stone affect the project in terms of concept, the intention of architect and its presentation?
STONE makes visible the HISTORY. STONE is capable of touching TIME.

About what should we be careful when designing and undertaking construction with stone? STONE has this material quality of produce special feelings when you TOUCH it with your HAND. I like to CARESSE the STONE. I like to use STONE on areas which are close.

What material are you looking at now? And do you think what material will get much attention in the future? I am especially interested in GLASS. In fact, in my building for offices in Zamora I was trying to build with air when I was creating pure glass triedrus in every corner with almost nothing. But this delicate corners are so exquisite because they are contained in a STONE box. The contrast between glass and STONE is very effective.

이 프로젝트에서 석재를 주재료로 사용한 이유는?
<카하 그라나다> 프로젝트는 콘크리트 기단 위에 콘크리트로 세운 커다란 박스를 제안한다. 하지만 그 내부는 하나의 정동(Geoda, 晶洞)처럼 더욱 섬세한 재료인 석재로 마감했다. 두 대형 벽체는 설화석고로 만들었고, 바닥과 실내 기단은 로마의 트래버틴으로 마감했다. 나는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지만, 석재야말로 실내에서 빛을 받기에 정말 안성맞춤인 재료라고 생각한다. 나는 이러한 아이디어를 석재로 구체화하는 걸 무척 좋아한다.

작품의 개념, 건축가의 의도, 주제 표현 등을 위해 돌의 물성, 느낌 또는 디테일이 작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돌은 역사를 가시적으로 드러낸다. 돌은 시간을 건드릴 수 있다.

석재를 다루는 건축물의 설계, 시공 과정의 주안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석재는 손으로 만져보면 특별한 느낌이나는 물성적 특질이 있다. 나는 돌을 어루만지기를 좋아하고, 가까운 지역의 석재를 곧잘 사용한다.

현재 주목하고 있는 재료는 어떤 것이며, 앞으로 주목 받을 재료는 무엇이라 생각하나?
특히 관심 있는 재료는 유리다. 사실 나는 사모라(Zamora) 지역 사무소 건물을 지을 때 모든 모서리를 거의 순수하게 유리로만 마감하여 가벼운 느낌을 내려 했었다. 하지만 이 취약한 모서리들은 석재 상자 속에 담겨있어서 무척 세련된 느낌을 준다. 유리와 석재의 대비는 매우 효과적이다.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1월호 [Monthly Issue]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