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nthly Issue :stone
GEOLOGICAL INSTITUTE CAMPUS CANTEEN
Architect : knowspace
수문환경지질조사센터 캠퍼스의 재구성 프로젝트는 몇 가지 다른 공사를 두 단계로 진행한다. 1단계는 2층짜리 매점과 활동센터가 들어서는 건물의 신축과 경비원 숙소 개축 공사를 포함하고, 2단계는 10층짜리 연구소 한 동의 신축과 1980년대에 지어진 사무소 건물 입면을 재단장하는 공사를 포함한다.
건축가는 현재 1단계를 완료했다. 신축 사무소 건물의 지하에 원래 계획했던 매점이 운영 허가를 받지 못하여, 연구소 측은 캠퍼스 상의 다른 위치를 대안으로 물색해야 했다. 따라서 뒤쪽에 있는 70년대에 지어진 벽돌창고 부지에 건물을 신축하면서 계획 당국은 신축 건물의 건축면적을 기존의 건축면적에 맞췄다. 그리하여 매점은 단순한 입방체가 되었다. 기능적인 요구에 따라, 두 개 층 모두 가변적인 단일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1층에는 직원 매점과 주방, 별도의 VIP 식당이 있고, 2층은 주로 탁구를 치거나 무대와 관객석을 갖춰 강연이나 발표회가 열릴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주 계단은 각기 두 번씩 꺾이는 형태로 진입 동선과 퇴장 동선을 분리하며, 별도의 피난계단은 두 층을 이어준다.
성능형 파사드를 통해 구획되고 차별화되는 주요 공간들은 두 개의 층위로 구성된다. 안쪽 층위에서는 바닥부터 천장까지 이어지는 유리창들이 실내와 실외의 기후를 분리하고, 바깥쪽 층위에서는 스크린 같은 석재 입면에 뚫린 구멍들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면서, 내·외부가 함께 차양과 장치로 기능한다. 경우에 따라 내·외부의 시야가 탁 트일 만큼 석재 입면의 개구부가 크게 열리기도 한다. 석벽은 독립적으로 서있으며, 22cm의 깊이로 그 물성을 표현한다. 연구소가 현장조사를 벌이는 주요 지역 중 하나가 신장(Xinjiang) 지역인 만큼, 구멍 뚫린 파사드가 건포도를 말리는 신장 지역 주택의 해석이라고 볼 수도 있다. 물론 주택에 쓰는 다진 흙 벽돌 대신 더욱 영구적인 석벽을 썼다는 차이는 있다. 노란색 화강석 표면은 망치로 두드려 손질했는데, 중국식 표현으로는 (중국 남부의 열대성 과일인) 리치의 껍질처럼 처리했다고 한다. 조경에는 농구 코트, 그리고 인접한 땅에서 튀어나와 보이는 기존의 방공호 등이 포함된다.

글: 노우스페이스


The reorganization of the Center for Hydrogeology and Environmental Geology Survey’s campus includes several different interventions in 2 phases: ‘phase 1’ comprises of a 2-story canteen and activity center building and the renovation of the doorman house, while ‘phase 2’ includes a 10-story laboratory building and the refurbishment of the office building facade from the 1980s.
Architect now completed ‘phase 1’. As the originally planned canteen in the new office building’s basement did not gain permission to operate, the institute had to look for an alternative location on the campus. A brick storage building from the 70s in the backward had to make place for a new building, but the planning department restricted the footprint of the new volume to match the old footprint. As a consequence, the canteen is a simple cubic volume. Both floors, due to functional requirements, are flexible single spaces. The ground floor houses the employees’ canteen with the kitchen and a separate VIP dining room, and the first floor mainly consists of a multi-purpose space that can be equally used to play table-tennis or to hold lectures and presentations with a stage and an audience. The main twin stairs with 3 runs each that separate entering and leaving traffic and an additional fire stair connect the two floors.
The main spaces are zoned and differentiated through a performative facade. It consists of 2 layers: while an inner layer with a series of floor to ceiling glass windows provides climatic separation, the outer layer is a screen-like perforated stone facade with gradually varying degrees of opening, both servind as a shading and a opening device. In specific occasions, large openings cut through the stone facade and provide views of the outside and inside alike. The stone wall stands independently and has a depth of 22cm which articulates its materiality. As one of the main areas for the institute’s field research is Xinjiang, the field of perforations in the facade may be seen as an nterpretation of the Xinjiang raisin drying houses, only that the more permanent stone brick substitutes the original rammed earth brick material. The yellow granite’s surface is hammered or, as they say in China, treated like a lychee-skin. The landscaping integrates a basketball court and an adjacent existing air raid shelter that sticks out of the ground.

Written by KNOWSPACE





About material ‘stone’
Interview with Knowspace

Is there any particular reason for using stone as main material for this project?
it had to do with the research subject of the institute (client), which is amongst others geology. We proposed it and the client loved the idea, and even actively helped finding the specific stone in a quarry. So the material kind of started to represent and communicate content of the campus buildings / e.g. what happens inside, even though the building serves as the employees’ canteen.

How did the materiality, feeling and details of stone affect the project in terms of concept, the intention of architect and its presentation?
The materiality and its specific use with open vertical grooves and generally grooves without grout, became very important in a performative sense. It helped create a volumetric that, from afar, has a heavy and significant presence on the campus in the midst of various very heterogeneic buildings, from up-close however, it creates an appearance of lightness and differentiation (through the perforation for example).

About what should we be careful when designing and undertaking construction with stone?
Detailing is very important. the way the stone is cut, the order of stone sizes, the way the stone is set together, the way the grooves are left open etc.

Do you think there is any limit on material expression?
Theoretically, there is no limit on material Expression (only limits of budget or time etc.). But, I do believe that a certain material should be used appropriately and in accordance with its properties. So, for example, it is technically possible to produce stone that is thinner than glass, but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use stone in such a way...

What material are you looking at now? And do you think what material will get much attention in the future?
Currently, we are doing a project in wood. I think wood, at least in Germany, wood has a bright future, as it is a ecologically viable, grows fast, is very performative. Budget-wise it is slowly getting more competitive.

이 프로젝트에서 석재를 주재료로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소(건축주) 측의 연구주제, 말하자면 무엇보다 지질학이라는 주제 때문이었다. 우리가 석재를 제안하자 건축주는 마음에 들어했고, 심지어 채석장에서 특정한 석재를 찾도록 적극적으로 도왔다. 이로써 석재가 캠퍼스 건물의 내용을,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재현하고 전달하기 시작했다. 직원의 매점 역할을 하는 건물일지라도 말이다.

작품의 개념, 건축가의 의도, 주제 표현 등을 위해 석재의 물성, 느낌 또는 디테일이 작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수직으로 열린 틈, 일반적으로 채워지지 않은 틈들로 이루어진 특정한 용도와 물성은 성능적인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 물성은 멀리서 보면 캠퍼스의 매우 이질적인 다양한 건물들 사이에서 무겁고 중요한 존재감을 갖는 입체를 형성하지만, 가까이서 보면 (예를 들어 타공을 통해서) 가볍고 미분화된 외관을 만들어낸다.

돌을 다루는 건축물의 설계, 시공 과정의 주안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돌의 재단 방식, 크고 작은 돌들의 배열, 돌의 구성 방식, 틈이 열리도록 남겨두는 방식 등에 관한 디테일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재료 표현의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는가?
이론적으로 물성적 표현은 한계가 없다. (예산이나 시간 등의 제약만 있을 뿐이다.) 하지만 어떤 재료는 그 속성에 맞도록 적절 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유리보다 더 가는 돌을 생산하는 게 기술적으로 가능하더라도 그런 식으로 돌을 사용하는 건 부적절할 수 있다.

현재 주목하고 있는 재료는 어떤 것이며, 앞으로 주목 받을 재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현재 우리는 목재를 사용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나는 적어도 독일에서는 목재의 전망이 밝다고 보는데, 생태적으로 유익하고 빨리 자라며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예산 측면에서도 목재는 서서히 경쟁력을 갖춰가는 중이다.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1월호 [Monthly Issue]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