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Project :
Gireum dong Store Residence
Architect: OpAD (Office of Progressive Architectural Design)

오문석_ 오파드건축연구소 한양대 공과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삼정건축, 원일건축, 양진석건축연구소 등에서 실무를 쌓았다. 일본의 I.C.D.건축설계사무소의 서울지사인 I.C.D.건축연구소에서 소장을 역임했으며, 2008년부터 현재까지 OpAD건축연구소를 운영해오고 있다. 2014년‘ 경향신문사 상반기 신지식 혁신인’에 선정되었으며,‘ 과천 협소주택 윤집’으로 건축문화, 전원속의 내집 등의 월간지에 소개되었다. 주요작품으로는 명동 메트로호텔 리노베이션(2004년, 2014년), ㈜did벽지 진천공장, 과천 협소주택 윤집, 제주시 빌라드제주 호텔, 광주 원당리 보리네집 등이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작품은 동소문동 오피스텔, 광교지구 단독주택, 성남 사송동 단독주택, 도림동 다가구주택 등이 있다. http://blog.naver.com/opad_oms
클라이언트의 특별한 요구사항은 무엇이었는가?
도심 속에 웅크리고 있는 대지 형상으로 면적 또한 넓지 않았기에, 더욱더 효율적이면서도 손실 없는 공간구성을 요구 하였다. 특히, 건축주가 직접 사용하게 될 1층의 근린생활 시설 용도의 사무실을 함께 구성해달라는 요구 조건은 주거와 근린생활시설의 공존, 동선 연계 및 출입구 분리 등의 측면 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건축가가 분석한 클라이언트의 특성과 그것이 설계로 어떻게 이어졌는가?
이제는 완연한 건축적 화두로 자리 잡은‘ 전세금으로 내집 짓기’의 추세에 뒤처지지 않은 건축주 부부는 층간소음 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전세집을 떠나, 자신들만의 독립적인 보금자리를 계획하였고,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단가의 자투리 땅을 구매해냄으로써, 순탄한 첫걸음을 내딛게 된 것 같았다. 전세금으로 시작한 내 집짓기는 항상 ‘저예산’과 맞닥뜨릴 수 밖에 없다. 그래서 건축공사비 또한‘ 저예산’을 충족하기 위하여 자재 선정이나 공법 등에 관해서 두 배 이상 고민하고, 그러한 내용들을 건축주와 소통해야 했다.

설계과정에서 건축주와 조율하기 힘들었던 부분은 무엇이며 어떠한 결과로 이어졌는가?
효율적인 보금자리를 만들어내자는 목표에는 건축주와 충분히 교감하였으나, 대지 형상이 정방향이 아닌 상황에서 인위적인 정방향의 공간들을 만들어 내는 것 자체가 대지 형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작위적 계획’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건축주 로서는 수적으로만 연결된 공간에만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적응에 힘들어 할 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주요실들은 정방형으로 조정하고, 옥외의 캐노피를 대지 형상에 따라가는 형태로 계획하여, 내외부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었다.

대지의 특성은 무엇이며, 이는 어떻게 건축물에 반영되었는가?
대로변에 가까이 면하면서 좁고, 경사진 이면도로를 갖는 ‘자루 형태’의 본 대지는 30평 남짓의 크지 않은 면적이며, 인접대지는 근생 및 다세대주택 등으로 빼곡히 들어차 있다. 정북 일조권 이격을 반영하고 남은 나머지 대부분의 면적을 최대한 전용면적으로 채워 넣어야만 건축주가 원하는 층별 구성이 가능한 협소한 대지이다.

건축가가 만들고 싶은 공간은 어떤 것이었나?
협소한 도심의 대지 특성상, 주변 건물들로 인한 채광 여건이 좋지 않았다. 채광과 더불어 환기도 가능하도록, 작은 대지에 어울리는‘ 작은 중정’을 선물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단독주택으로서 4개 층을 이용하는 점을 감안하여, 계단을 오르내릴 때의 답답함도 덜어줘야겠다는 목적도 있었던 터라, ‘작은 중정’을 주계단의 중심부에 계획하게 되었다. 직사광선이 아닌 간접 일조를 통해 균일한 조도를 확보하고, 복도 등의 환기 를 도와주는 본 주택에서 꼭 필요한 공간이다.

설계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는 무엇이었는가?
복층 주택에서는 일반적으로 저층부에 거실 및 주방 등의 공용공간을 주로 배치하고 상층부에 침실 등을 두게 된다. 하지만 본 대지의 경우, 저층의 주변 경관에 큰 장점이 없을 뿐 아니라, 대부분의 시간을 거실에서 보내게 될 건축주에게 있어서는 채광이나 조망이 더 양호한 상부층에 거실을 두는 것이 합당했다. 그리하여 침실들은 2층에, 거실과 주방은 3층에 배치되었다.

본 프로젝트의 디자인 키워드를 정의한다면?
? 대지 형상에 순응하는 MASS 구성: 협소 대지에서는 특히 대지 형상에 순응하지 않고서는 효율적인 공간구성이 불가능 해지므로, 반드시 필요한 계획의 방향이자, MASS의 형태를 결정짓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가 된다.
? 작은 대지에 어울리는 작은 외부공간‘ 작은 중정’: 크지 않은 대지의 스케일에 잘 어울리는 크기와, 기능성을 갖는 중정은 무미건조해질 수 있는 계단과 복도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디자인 요소가 되었다.
? 주택과 근생의 공존: 임대를 위한 근린생활시설이 아닌, 건축주가 직접 이용하게 될 공간이기 때문에, 근생의 출입과 주택의 출입을 이용목적에 맞게 적절히 분리함과 동시에, 내부로의 동선을 연계하는 것도 중요한 계획적 요소가 되었다.

건축물의 주된 재료와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외장재는 스터코플렉스와 적삼목재, 컬러강판 등이 주재료 이다. 협소한 대지에서는 벽체 두께에서 생길 수 있는 손실 마저도 줄여야하므로 마감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로 사용한다. 그와 함께, 외벽 및 지붕에 들어가는 단열재 또한 효율이 높은 경질우레탄폼 단열재를 사용하여, 외벽 두께의 최소화를 꾀하였다. 삭막한 도심일수록 적삼목 같은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건축주의 만족뿐만 아니라, 도시 미관에도 일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부 마감재는 Beige와 White의 밝은 톤을 유지하며, 군더더기를 최대한 없 앤 심플함을 반영하려 하였다.
인터뷰이: 오문석(OpAD)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3월호 [korean PROJECT]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