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dea Project :
re cover
Soomin Kim & Seohyun Oh
리 커버, 관계의 회복 산업혁명과 인구증가로 인한 대도시화가 일어난 도시는 이후 개발로 인한 극심한 변화를 겪어왔다. 인공적 환경의 도시는 다양한 기회와 새로운 생활양식을 제공했고, 인간은 그에 적응해왔다. 하지만 이런 혜택이 자연환경의 균형과 조화를 위협했다. 자본주의는 거대도시의 형성을 가능케 하면서도 경제적 양극화와 사회적 불균형 같은 심각한 부작용도 초래했다. 한때 인간 삶의 번영을 보장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기술과 시스템은 이제 인간과 자연환경, 인간 공동체 간의 공존을 위협한다고 여겨질 정도다. 과거의 건축은 개발 경쟁과 자본의 이기적 유전자 속에서 과열된 기술을 반영했다. 하지만 요즘 공존과 균형의 문제가 부상함에 따라, 이 세대의 생각이 어떻게 이러한 이기적 유전자를 바꿀 것이며 현대 건축은 그러한 유전자의 표현형으로서 어떤 종류의 형식을 취할 것인가?
현재 세계 인구의 54%가 도시 생활을 하고 있고, 인구 1천만이 넘는 거대도시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마천루는 수평적 도시가 점점 더 과밀한 복잡성을 띠어가자 수직적 확장과 재건을 통해 이를 분산시키려는 목적으로 생겨났고, 이는 부족한 땅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였다. 게다가 많은 도시들이 더 많은 마천루를 지으려고 열렬히 경쟁하게 되었는데, 이는 마천루가 종종 경제적 성공의 결과로 취급되기 때문이다. 유엔(UN)은 2050년에 이르면 세계 인구가 90억을 넘어설 거라고 예측했다. 도시는 이런 인구 변화를 수용하면서 인구과밀을 겪게 될 것이므로, 전문가들은 마천루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늘어날 거라고 예상한다. 하지만 이러한 수요는 뉴욕 시와 같은 거대도시들이 같은 비율로 에너지와 자원을 계속 소비할 경우 일어나게 될 사회적?환경적 문제들과 모순을 이룬다. 따라서 이런 수요를 충족하려면, 마천루를 위한 지속가능한 모델이 필요하다.
20세기 마천루가 개발과 성장의 논리를 따랐다면, 새로운 모델은 회복과 공존의 법칙을 따라야 할 것이다. 현재 뉴욕 시의 지역들은 대부분 이미 사용 중이며, 20세기처럼 완전히 다시 뜯어고치려면 상당량의 에너지와 자원이 필요할 것이다. 이 모델은 전형적인 건물을 자원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용도를 찾고, 건축법에 관해서는 최소한의 노력만 하면 되는 그 미래를 향한 목적을 부여해준다. 새로 생겨나는 건물들은 지속가능한 주기로 친환경적 에너지를 사용하고 자체 생산함으로써, 주변 환경과 맞서지 않고 공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모델을 통해 자본은 공공 안에서 공유된 가치를 시행함에 따라 자체적으로 새로운 국경을 갖게 될 것이며, 한때 자본과 공공의 양극화를 상징했던 마천루는 공존의 상징으로 전환하게 될 것이다.
글 제공: 김수민 & 오서현


Cities had faced extreme changes due to developments after industrial revolution and metropolitanization caused by population increase. Artificial environment, cities, offered diversity of opportunities and new lifestyles which humans comforted themselves with. However, this benefit jeopardized the balance and harmony of natural environment. Capitalism, while making possible the forming of megacities, also brought severe side-effects such as economic polarization and social imbalance. Once expected to guarantee prosperity of human lives, technics and systems, are now even considered as threats to the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communities. Architecture of the past reflected the overheated technologies in competition of developments and selfish gene of capital. However, as the question of coexistence and balance is brought to the surface nowadays, how will the generation’s idea change this selfish gene and what kind of form will modern architecture will take as its phenotype?
At this present, where 54% of world population live urban based lives, megacities of population over 10 million keep increasing. Skyscrapers were born from the necessity to disperse dense complexity of horizontal cities by vertically expanding and reconstructing, in order to make a more effective use of scarce land. Moreover, many cities passionately competed in building more skyscrapers since they were often taken as outcomes of their economic success. UN predicts that by 2050, the world population will go over 9 billion. Cities will be overcrowded in due to accept this change in population, which makes experts believe that demand for skyscrapers will continue to increase.
However, these demands are in contradiction with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could be caused if the megacities like NYC continue to spend the energy and resources in this rate. Thus, to satisfy these demands, we need to have a sustainable model for a skyscraper. If the 20C’s skyscrapers followed the logic of development and growth, the new model should be following the law of recovery and coexistence. Currently most of the NYC’s areas are already in use, and it would take a great deal of energy and resources to try starting over entirely like in 20C.
The model will use conventional buildings as a resources, and it will find a new usage for them and give them purposes for the future using only the slightest efforts on building acts. The newly born buildings will use and self-produce eco-friendly energy in sustainable cycle, so that they can coexist with the environment instead of opposing it. With the model, the capitals will have a new frontier in front of them as they implement shared values within the public, and the skyscrapers, once a symbol of polarization of capital and public, will make a transition to a symbol of co-existence.
Text offer: Soomin Kim & Seohyun Oh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7월호 [Special issue]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