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Project :
수영동 메디컬 센터
Suyeong-Dong Medical Center

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김용남_ 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현재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의 대표 건축가로, 동아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을 수료했다.
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에서 실무를 쌓았으며 동의대학교 겸임교수, 인제대학교, 동아대학교 외래교수를 역임했다. 2002년에 설립된 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는 건축물을 인간이 사는 유기체로 보고, 환경과 인간이 건축물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데 관심을 두고 질문을 던지는 건축 집단이다.
주요작품으로는 미즈웰 산부인과 병원, 이비스 엠버서더 호텔, 김해 더 큰병원, 센텀뷰 라움, 문현 금융단지 디온플레이스, 해운대 베르나움, 영도 라발스호텔 등이 있으며, 한국 건축가협회 부산시 건축가회 신인건축가상 및 부산시 동래건축문화상 우수상, 김해시 건축대상제 우수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프로젝트 시작부터‘ 메디컬 센터’라는 용도가 계획되어 있었는데, 이러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 운영하기 위해 건축적으로 제안한 것은 무엇이었나?
삼현에서 제안한 메디컬 센터의 기본개념은 단독주택 개념의 병,의원을 수직적으로 쌓아 올리는 개념이다. 리서치를 통해 병?의원을 운영하는 의사들이 가장 궁극적으로 선호하는 운영 형태는 소규모 단독필지에 단독건물 형태였다. 하지만 소규모 단독필지는 환자 유치를 위한 입지조건이나 교통 여건이 받쳐주지 않는 위치가 대부분이고, 입지조건이 충족되는 대지는 으레 단독건물을 짓기에 경제성이 나오지 않을 정도로 대지 가격이 고가인 상업지역인 경우가 많다. 삼현이 추구하는 건축물의 형태는 건축주와 사용자 간의 궁극적인 선호도 중 교집합을 찾아내어 그것을 구축해가는 과정이다. 층별로 다른 형태의 평면과 마당을 가진 단독 병?의원을 수직적으로 쌓아 올린 우리의 제안은 건축주에게 흔쾌히 받아들여졌다.

이 프로젝트의 대지가 갖는 특성은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건축물에 반영되었는가?
이 프로젝트의 위치는 과밀화된 상업지역의 표본이 될 수 있는 교통 요충지 한가운데 위치해있다. 유동인구가 많은 저층부는 주변의 상권이 그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상업시설을 배치하고 중층부는 메디컬 센터 그리고 고층부는 소규모 오피스텔을 배치하여 직주근접형을 목표했으며 오피스텔의 개별 세대에 마당을 배치하여 고층부의 개방감 극대화를 시도하였다. 층별 매스의 덩어리가 저?중?고층에 따라 점점 작아지고 각층 별 매스의 개방공간이 외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그대로 형태로 드러나도록 하여 도심 외피 밀도를 떨어뜨리는 효과를 의도 하였다.

국내 근생 건축물은 최대 용적률과 임대라는 숙제를 떠안기 마련이다. 경제적인 가치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어떠한 디자인 또는 공간구성이 반영되었는가?
도심 밀집 지역에 짓는 근생건축물은 사업성이라는 경제적 가치가 항상 최우선적 고려 대상이다. 우리는 건축물을 발주한 건축주와 투자자 그리고 사용자(임대자)의 요구사항을 충실히 조사하여 그 교집합의 접점을 찾는데 계획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이 대지의 용적률 최대치는 12층이나, 15개 층으로 계획하여 사업적 면적은 충족하되 3개 층의 여유공간을 층별로 분산배치하고, 경제적 가치와 임대부의 쾌적성을 확보하여 임대가치 상승을 동시에 추구했다.

외관 디자인이 독특한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는 것 같다. 여기에 적용된 콘셉트는 무엇인가?
또한 내부 공간과 어떠한 연결성을 갖는지 궁금하다. 외피의 형태는 특별히 의도한 것은 아니며 층별로 다르게 배치된 외부공간을 외부와 내부가 불분명한 반외부적 공간을 주기 위한 장치이다. 외부의 바람과 햇빛을 적절히 유입하고 견고한 도심지 분위기에 수양버들처럼 자연스럽게 흔들리는 비일상화가 공존하는 개별공간을 내부와 연결하는 게 목표였으며 내부의 느낌이 외피에서 간접적으로 드러나도록 하였다.

설계를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이슈가 된 주안점은 무엇인가?
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주요 이슈 사항으로 첫 번째가 용도별 조닝이었는데, 용적률 대비 메디컬 부분의 면적이 전체의 50% 수준이라 나머지 50%의 용도를 무엇으로 할 것인가의 문제였다. 두 번째는 메디컬 용도 특성상 입주 가능한 각 과별 전문과목이 한정적(10개과 내외)이라는 것과 각 과별 소요면적 또한 한정적(약 100~150㎡이내)이라는 것이다. 세 번째로 저층부, 중층부, 고층부의 용도를 다르게 계획하다 보니 각 용도별 별도의 코어 동선확보와 지상층 및 지하층에서의 자연스러운 동선 통합의 문제 등이 있었다. 이러한 3가지 이슈사항을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안 제시가 설계 진행의 주요 이슈였던 것 같다.

삼현도시건축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은 어떠한가? 현실적인 디자인을 위해 제안한 아이디어는 어떠한 것이었나?
삼현에서 진행하는 프로세스는 전체 과정 중 리서치 과정과 그 결과를 가지고 설계 팀내에서의 토론 과정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그리하여 방향성이 정해지면 일사천리로 형태가 만들어진다. 단독주택 같은 메디컬 이미지와 개별마당을 가진 오피스텔 개념도 그 과정에서 도출되었으며 오픈 공간을 호롱불 갓같은 골조 구조를 덧씌우는 방식 또한 토의 과정에서 여러 이미지를 비교분석한 결과이다.

건축물의 주된 재료는 무엇이며, 선택한 이유는?
유리와 철근콘크리트면 처리부에 실리콘계 도장재가 건물 내?외부를 전부 덮고 있다. 앞에서도 언급되었지만 건축물 형태의 복잡성에 따라 공사비용 증가부분을 외장 재료를 줄여서 전체적 비용이 건축주가 생각하는 교집합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였다. 골격의 형태로 건축물의 매스를 디자인하고 마감재는 최소화하는 우리 사무실의 방향성과도 일치한다고 본다.

인터뷰이: 김용남(삼현도시건축)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8월호 [Monthly Issue]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