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dea Project
YONGSANPARK PERIPHERAL MASTERPLAN
The senior year urban planning studios of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용산공원 주변지역 마스터 플랜 머지않은 미래에 용산미군기지는 공원으로 조성될 것이다. 남산과 한강 사이에 위치한 용산공원은 서울시의 가장 큰 어메니티가 될 것이고, 서울시내에 대규모 공원 조성은 용산 지역에 새로운 개발압력을 가지고 올 것이며, 주변의 다양한 주거지역과 그 커뮤니티가 이러한 개발로 인해 파괴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제도의 한계와 고층주거유형의 획일적 적용으로 인해 난개발과 경관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미 용산 주변에서 많은 개발이 시작되고 있는데, 미래에 대한 비전의 부재로 서울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아파트 주거지로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이 과제는 새로운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용산공원 내외에 존재하는 역사적,건축적,문화적,사회적 요소를 보존 및 극대화 하면서 미래의 라이프스타일을 담아 낼 수 있는 살기 좋은 주거지역 및 도시를 계획하기 위한 것이다.
홍익대학교 4학년 공동작품은 3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1단계는 용산주변 전 지역에 대한 미래구상을 각 반이 제시하여 가장 우수한 작품을 선정하였다. 이 당선 작품을 전제로 2단계에서는 여섯 개의 스튜디오가 용산공원 주변지역을 나누어서 지역개발 마스터플랜을 계획하였다. 3단계에서는 각 스튜디오에서 필지를 분할하여 건축계획을 세우면서 도시의 공공환경설계를 구체화하였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도시 스케일부터 건축 스케일의 2차원과 3차원 공간설계를 경험하게 되었다.
1차 미래콘셉트계획 단계에서‘ Borderless Nature, Urban Diversity’라는 계획이 선정되어 역사, 자연, 사회의 단절을 극복하고, 주변지역의 다양성 보전 및 커뮤니티를 활성화한다는 큰 구상 아래 각 반들은 각 지역에 대한 도시설계를 진행하였다. 또한 대한민국의 최대 도시공원으로서의 위상을 세우고, 로컬지역의 장소성을 담아내도록 계획하였다.

글 제공: 정재용 교수, 홍익대 건축학과 4학년 도시설계스튜디오

[Borderless Nature, Urban Diversity] 지역현황 분석을 통해 용산공원과 주변지역의 가장 큰 문제점을 단절이라고 도출하였다. 이는 역사적인 단절을 중심으로 공간적, 물리적, 환경적, 시각적, 심리적인 단절을 형성하였다. 이 때문에 용산공원지역은 주변지역과 경계가 형성되었으며, 남산자락의 지형, 인프라스트럭쳐와 교통, 고밀도 주거, 다문화와 상업, 매립지와 한강의 특징을 가진 주변지역들이 서로 경계를 형성하고, 지역 내에서조차 경계가 있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이를 해결하지 못한 채 용산공원이 계획된다면 공원자체가 새로운 경계가 될 수가 있고, 이는 주변지역으로부터 고립된 공원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다양한 성격을 가진 지역들이 소통하지 못하고 흐름이 끊겨 각각의 지역으로서만 존재하게 될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용산의 여러 지역의 지구단위계획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개발을 중시했다. 이는 오히려 단절된 요소를 형성하거나 방치하며 심하면 그나마 존재하였던 지역성조차 해쳐 획일적인 도시가 될 가능성을 보였다.
이에 본 계획에서는 분석과 목표를 통해 다음과 같은 콘셉트를 제안한다. [Borderless Nature / Urban Diversity]라는 주제로 용산공원의 6개 주변지역을 계획하였다. 각 지역의‘ 다양한 성격인 Urban Diversity’를 제안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도시조직을 엮고 기존 지역성과 새로운 지역성을 만나게 한다. 이는 축과 프로그램을 통해 형성되고 다양한 성격을 부여하여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게 한다.
다양한 지역성을 가진 지역이 공원과 연계하여 자연의 흐름과 하나가 되는‘ 경계가 없는 자연 Borderless Nature’를 제안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단절된 길을 연결시키고, 자연친화적 길을 조성한다. 또한, 녹지의 흐름을 지역 내부로 통과시키고 자연요소를 유입하고 접목시킨다. 이를 통해, 자연은 도시로 확장하게 된다.

- 해방촌 지역은 남산자락의 급격한 경사를 길로 재조직하여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여 자연스럽게 남산공원과 용산공원을 연계하고 주민들의 보행환경을 개선한다.
- 다문화와 상권을 가진 이태원동은 기존상권과 새로운 상권의 조화를 이루는 길과 동시에 공원과 남산을 이어 자연친화적인 길을 계획한다.
- 고밀도 주거지인 동빙고동은 문화 프로그램을 가진 보행로를 지역 내부로 관통시켜 낙후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주민들을 위한 보행로를 공원과 연계하여 녹지의 흐름을 지역으로 끌어들여 삶의 질을 높인다.
- 매립지와 한강의 특징을 가진 이촌-서빙고동은 지역민의 축, 공원과 한강을 잇는 축을 형성하고 입체적 녹지축을 통한 자연, 문화, 통경의 흐름을 유입시하고 접목시킨다.
- 교통과 업무지구의 한강로동은 다양한 컨텐츠적 요소를 계획하고 이를 상호작용 시키고 용산공원의 프로그램과 자연요소와 접목하여 공원과 흐름과 상호작용을 높인다.
- 인프라스트럭처와 경사지의 남영-후암동은 이를 이용한 3가지의 입체 보행로를 계획하여 여기서 일어나는 여러 활동,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공원과의 녹지흐름을 주거지 내부로 통과시킨다.



In the near future, the U.S. military’s Yongsan base will be made into a park. The military base located between the Namsan Mountain and the Han River will become the largest amenities in Seoul: such large formation of a park will bring new pressure on development in the Yongsan area, around which the community of various residential zones may thus be destroyed. Besides, it may lead to sprawling development and landscape issues due to the limit of the present legal system addressing development and the uniform application of high-rise residential types.
Already starting around Yongsan, many development projects are likely to become general apartment housing developments which look ubiquitous in Seoul, due to the lack of vision toward the future. This task is thus to suggest a new future vision, conserving and maximizing the historical, architectural, cultural, and social elements existing inside and outside the Yongsan Park, as well as planning a livable city of residential areas whose quality of life can meet the future lifestyle. The collaborative works by the senior year students of HSA* progressed in three stages: at the first stage, each class proposed the future visions for the whole area around Yongsan, with the best proposal selected amongst them; at the second stage premised on this selected work, six classes suggested the master plans of local development by taking different parts of areas around the Yongsan Park; and at the third stage, each class took different parts of the lot to make an architectural plan and embody the public environmental design of the city. Throughout this serial process, students came to learn about the two- and three-dimensional spatial designs in the scale ranging from the urban to the architectural.
At the first stage of conceptualizing future visions, selected was the project titled ‘Borderless Nature, Urban Diversity’ under whose overall initiative each class progressed with urban designs on different areas to overcome historical, natural, and social breaks, preserving the diversity of surrounding areas and facilitating the community. This is to showcase such projects as fit for the status of the largest city park reflecting the local sense of place.
* HSA: Hongik School of Architecture

Text offer: Chung Jaeyong, Urban planning studio of HSA

Contextual analysis of the local condition revealed the biggest problem of the Yongsan Park and its neighboring area as ‘breaks’: spatial, physical, environmental, visual, and psychological breaks have occurred around the historical break. These breaks have led to the formation of boundaries between the Yongsan Park and the neighboring areas - characterized by the topography of the Namsan Mountain, infrastructure and traffic, high-density housing, multiple cultures and commerce, and the features of land reclamation and the Han River - the boundaries which seemed to exist even within the area. If the Yongsan Park is planned without any solution to this problem, the park itself may become a new boundary and a form of park isolated from the surroundings. Meanwhile, many area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will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ut be isolated with the broken flow of communication.
As well, the district unit planning of different areas in Yongsan put not so much emphasis on problem-solving, but on development. This tendency created or neglected broken elements, or even destroyed the remaining sense of locality, showing the possibility of facilitating a uniform city. As a consequence of the aforementioned analysis and goal-setting, we suggest the following concept: planning six areas around the Yongsan Park with the theme of ‘Borderless Nature/Urban Diversity.’ We suggest the concept of ‘urban diversity’ characterized by the respective individualities of diverse areas. Its working plan is to weave the existing urban fabric, which means the existing locality, with a new sense of locality, which is enabled by the axis and the programs that provid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help to create new space.
We suggest the ‘borderless nature’ by which the areas with diverse senses of locality connect to the park and become one with the flow of nature. Its working plan is to connect the broken roads and facilitate nature-friendly roads; also, to make the flow of greens pass through the locality, introducing and grafting the elements of nature, thus letting them extend to the city.

- The Haebangchon area is to be naturally connected with the Namsan Park and the Yongsan Park so as to improve the walking condition for residents by reorganizing the steep slope at the foot of Mt. Namsan into an easy one.
- Itaewon-dong, a multicultural sphere of commerce, is to have such roads as to make harmony between existing and new commercial spheres as well as to be nature-friendly by connecting the park and Mt. Namsan.
- Dongbinggo-dong, a high-density residential area, is to have a walkway which penetrates the area with cultural programs that will inspire vitality and which is also connected with the park so as to introduce the flow of greens and raise the quality of life.
- Ichon-dong and Seobinggo-dong, characterized by the land reclamation and adjacent to the Han River, are to have the axis for residents that connects the park and the Han River, introducing and grafting the flow of nature, culture, and landscape vista through the multi-level green axis.
- Hangangno-dong, a traffic- and business-based district, is to have various elements of content plann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grafted to the programs and natural elements of the Yongsan park so as to improve the flow of interaction with the park.
- Namyeong-dong and Huam-dong, characterized by infrastructure and slope, are to enable a variety of activities and programs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to occur on three types of multi-level walkways bringing in the flow of greens from the park and making it pass through the residential area.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9월호 [Monthly Issue]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