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RCHITECT’S STORY ON ARCHITECTS
산전리 주택
SPACE IN HANDS


아파트 생활을 하던 건축주는 은퇴를 하면서 제2의 인생인 노후를 전원에서 생활하고 싶어 하였다. 그들이 전원에서 살아갈 방식을 제안하는 프로젝트였다.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6m 이상의 고저차가 있으며 남쪽에서 북쪽으로는 계단식으로 조성된 전원주택 단지가 형성될 예정인 대지이다. 낮은 남서쪽에서부터 높은 곳으로 점차 계단식으로 올라가는 고저차를 활용하여 대지의 높이와 건축물의 기단부 그리고 내부 공간에서 단 높이의 변화를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높이의 변화는 외부에서 시작하여 내부로 그리고 다시 외부로 연결된다.
이 과정 속에서 내부에서는 외부의 변화를 외부에서는 내부의 변화를 서로 인식하고 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높이의 변화를 순환하면서 형성되어진 중정이 건축물의 중앙에 생겼고, 이는 외부를 중심으로 공간의 수직적 변화가 다방면에서 교차되는 공간이 되었다. 내부에서 대지 높이가 가장 높은 북동쪽에서 계속해서 서쪽으로 높이가 높아진 결과 남서쪽의 낮은 대지와 높이 차이로 인하여 서쪽의 떠있는 매스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는 중정에서 서쪽으로 나있는 근경의 자연 풍경을 중정으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동쪽 도로 쪽으로는 추후 주택단지가 형성될 것이고 서쪽 도로 쪽으로는 자연이 있고 도로 높이도 낮아서 이렇게 떠있는 매스를 만들어 하부에서 중정과 외부공간이 서로 연계되도록 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외부공간을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중정에서 누마루와 높이차를 두어 각각의 공간에서 느끼는 공간감을 서로 다르게 하였고, 내부의 연결 복도, 거실, 주방, 누마루방에서도 각각 다른 높이의 공간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안방에서 하늘마당까지 연결되는 동선 또한 높이를 다르게 하여 중정과 누마루에서 바라보는 시각의 소점을 다르게 하였다. 좋은 주택이란 사람에게 생각하는 공간을 많이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주택의 긴 동선 속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생각의 공간이 건축주에게 깊은 사색과 풍요를 가져다주기를 희망한다.
안방은 정남향과 서쪽 대지 경계선 라인이 비슷하여 정남향으로 열린 공간을 설정하고 이를 통하여 대청마루에서 건축주가 바라보고 싶은 동쪽과 남쪽으로 개방된 공간을 확보하였다. 연속성을 가진 외부공간은 이 주택에서 높이의 정점 공간인 전망대 역할을 하는 하늘마당으로 연결된다. 이 과정 속에서 외부 연결 다리는 높이를 낮게 하여 누마루와 누마루방에서 남쪽의 수려한 원경을 조망할 수 있게 하여 주변의 훌륭한 자연경관을 이 건축물 안으로 끌어들이고자 하였다.

글: 정웅식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10월호 [ARCHITECT’S STORY ON ARCHITECTS]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