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RCHITECT’S STORY ON ARCHITECTS
장현동 삼남매 주택
H-HOUSE


요즘 사회적으로 거주 방식이 아파트에서 주택으로 많이 전환되고 있다. 이 시점에“ 우리가 주택에 사는 이유는 무엇일까?”라는 본질적인 사유를 해야 하지 않을까. 나 스스로 가족들간의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을 위해서가 아닐까하는 가장 당연한 답을 해보고 싶다. 이 <장현동 삼남매 주택(H-house)>은 이러한 부분에 대한 답을 찾는 건축적 고뇌의 결과이다. 이 시대에 누구나 꿈에 그리는 가족들이 모여사는 집. 즉, 대가족(3대-종갓집)이 한 곳에 모두 모여 사는 집이 바로 <장현동 삼남매 주택(H-house)>이다. 여기서‘ H’는‘ Home은 Hope이다’라는 함축적 의미를 담고 있고, 평면적?단면적으로 공간을 구성하는 아이디어가 되기도 한다.
아파트와 주택의 다른 점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외부공간과 마당에 대한 개념이다. 사람들이 주택에 대한 로망으로 누구나 마당을 가지고 싶어 한다. 하지만, 도심지의 주택이다 보니 전원주택과 다르게 마당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이 거의 없다. 특히, 가족들이 모여 살아야 하니 주택의 규모도 커져야 했다. 주어진 대지에서 건폐율만큼 활용하고 나니 마당이 거의 생기지 않았다. 마당과 외부공간은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가족이 소통하고 가족들의 삶의 질을 향상해 주는 주택의 가장 중요한 공간이다. 또한, 종갓집으로 집안 행사(행사를 위하여 필요한 물건들을 보관해야 하는 창고가 필요하다)도 많고 많은 사람들을 수용하는 대형 공간도 필요하였다. 그래서 생각한 개념이 땅속 마당이다. 햇빛이 가득한 지상 같은 땅속 마당, 내부와 외부가 서로 공존하는 이 주택의 핵심공간으로 지상의 마당보다도 훨씬 큰 소통 공간이 된다. 종갓집이다 보니 부모님과 아들가족이 1층, 두 딸의 가족들이 2층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1층의 거실은 이 주택의 내부적 공간으로 중심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땅속 마당 위 떠 있는 곳에 배치하고 2개의 앞뒤 외부공간으로 마치 대청마루처럼 소통이 되도록 하여 개방성을 확보하였다.
2층에서는 땅속마당 위를 지나가는 브릿지를 통하여 지하 땅속마당까지 연결되는 독립적인 동선을 계획하고 이 동선이 외부와 연결되도록 하였다. 또한, 다락방에서 서로 연결되는 공유마당을 만들어서 아이들과 가족들이 최상층에서도 소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택이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공간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공간의 수축과 팽창을 통하여 미로같은 하나의 주택을 만들고 싶었다. 이러한 점이 가족들에게 다양한 체험을 가져다 줄 것이다.

글: 정웅식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10월호 [ARCHITECT’S STORY ON ARCHITECTS]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