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RCHITECT’S STORY ON ARCHITECTS
은편리 주택
Cliff House


은퇴 후 노후를 준비하는 부부가 기존 주택을 철거하고 새로운 삶의 터전을 준비하는 프로젝트였다. 전원주택은 늘 그러하듯 작은 주택을 생각하는 건축주들의 마음과 다르게, 현실적으로는 요구하는 프로그램들을 담기에는 적지 않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건폐율의 제한 때문에 수직적인 구성으로 프로그램들을 수용해야 했다. 보통 지상 2층으로 풀어가는 일반적인 방법과 다르게 계곡과 연결되는 외부 및 내부 지하공간 영역을 구성하여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해결하였다.
남쪽은 높은 근경의 산과 높은 위치의 인접 부지에 접한 반면 동쪽은 좋은 풍경의 원경을 가지고 있고 북쪽으로는 개발이 될 수 없는 이 대지만의 특징인 근경의 계곡 풍경을 접하고 있다. 지상에서 지하로 연결된 외부 공간은 이 주택에서 계곡을 개인 정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간적 장치로 활용하였다. 기존 대지의 레벨차를 이용하여 공적인 공간과 사적인 공간으로 구분하고 내부 브릿지를 통하여 연결되게 함으로써 외부공간과 계곡을 서로 교차되는 동선으로 소통하게 하였다. 또한, 규모가 작은 주택의 프로그램에 다양한 성격을 가진 큐빅같은 외부공간을 수평과 수직적으로 끼워 넣어서 내부에서 외부와 소통하는 다양한 공간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하공간(취미실 및 창고)과 지하 외부공간(비밀의 정원)은 계곡 쪽으로 열려 있어 계곡의 풍경을 담으면서 지상공간처럼 활용되도록 하였다. 지하공간의 일부분은 황토방에 불을 지필 수 있도록 레벨을 조절하고 아궁이 하부를 다시 창고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동쪽 풍경을 바라보고 싶어하는 건축주의 의지를 반영하여 방들을 배치하니 긴 매스가 되었고 채광에 문제가 생겼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황토방 쪽으로 외부 썬큰을 만들어 황토방과 지하공간의 채광을 동시에 해결하고 서재 및 방은 층고를 높게 하여 항상 햇빛이 들어오도록 하였다. 또한, 안방 앞에는 하늘만 보이는 안마당을 만들어서 도로 쪽에서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함과 동시에 채광을 해결하였다. 주택 전체의 긴 동선 속에서 다양한 외부 공간들을 경험하고 주변의 다양한 풍경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글: 정웅식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10월호 [ARCHITECT’S STORY ON ARCHITECTS]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