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Project :
봄.봄 부띠끄 호텔
Bom Bom Boutique Hotel

최이선/ 건축사사무소 예인


남수현_ 명지대학교 건축학과 명지대학교 건축학과 부교수이자 건축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학사(B.S.), 석사(M.S.), 예일건축대학(M.Arch, Yale School of Architecture)을 졸업하였다.
이로재에서 실무경험을 쌓고, 뉴욕 Gruzen Samton Architects에서 건축설계 후 귀국, HAUS2, 온고당에서 작업하였다.
A-HOUSE, High-rise on 42nd, Thurgood Marshall Academy, Y-HOUSE 등의 작업을 하였으며 근대건축가의 합리성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2009년 서울대공원 재조성을 위한 기본구상 및 타당성 국제현상공모에서 3등에 입상하였다.
저서로 HOUSE CONTENTS(공저, 2009), MEDIUMNESS(중형성, 2012), 역서로 설계와 주거공간의 기초(2012), 인터랙티브 건축공간(2010), 르 꼬르뷔제 200분의 1(2012), 크로스오버(김정수 교수와 공역, 2015) 등이 있다. 번역하고 있는 책으로 인터렉티브 건축공간 2(2017), 건축단면메뉴얼(2017)이 있으며, 준비 중인 저서로 건축가 사용 메뉴얼, 스튜디오 프로젝트로‘ 조닝대안’을 계획 중이다.

임재은_ KDA건축사사무소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이로재건축사사무소, 위가건축,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온고당에 근무하였으며, 현재 (주)케이디에이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작업은 주거로 E-JIP PROJECT, F-HOUSE 등이 있으며 근생건물로 W & H BUILDING, ELAPSE5301, J-CUBE 등이 있다. 남수현과는 이로재 시절부터 알게 되어 A-HOUSE, Y-HOUSE, M-HOUSE(계획안), 진선출판사 사옥(계획안)과 같은 프로젝트 및 다수의 공모전을 함께 작업하고 있다.


클라이언트의 특별한 요구사항은 무엇이었고, 어떻게 설계로 이어졌는가?
이 작업의 시작은 건축주의 의도보다는 건축가의 제안에서 비롯된 것이다. 처음 건축주는 임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상가 건축을 의뢰하였다. 대지를 답사하며 지난 2012년 정림학생건축상에서‘ 부티크 호텔 디자인과 시나리오(5년 후에 문을 여는 중저가 부티크 호텔)’를 주제로 한 공모전이 떠올랐다. 여행의 트렌드가 바뀌는 시대상에 맞추어 관광지의 도심 속에 비슷한 작업을 한다면, 강릉 기존의 모텔이나 리조트 호텔과 차별성을 가진 새로운 숙박시설로 하여금 건축가가 직접 운영하면서 더욱 가치 있는 삶을 제시함과 동시에 상가 임대 수입 못지않은 수익을 돌려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러한 생각을 건축주가 흔쾌히 받아들여 주었고 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의 대지가 갖는 특성은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건축물에 반영되었는가?
<봄.봄 부띠끄 호텔>이 위치한 자리는 강릉에서 2000년대 초 즈음 개발한 솔올택지지구 내 상업시설 지역으로 숙박과 유흥시설이 혼재한 지역이다. 기존 대지는 비슷한 성격의 숙박이나 유흥시설이 들어오기를 기다리는 듯한 나대지였고, 주변 풍경은 기존 모텔들의 담장이 높이 가려져 있고 유흥업소의 어두운 것을 더 감추려 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나는 주거지역과 학교, 상가주택들로 둘러쌓여 있는 택지지구의 중심지역에 현재의 반대되는 작업을 하려고 하였다. 누구나 <봄.봄 호텔>을 처음보면 봄이 찾아왔다는 느낌을 전달해 주고 싶었다. 이제는 변화할 수 있는 시기가 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첫 시도가 되고자 하였다.

호텔의 이미지를 코드화하여 입면에 형상화하는 작업을 거쳤다. 모스코드 또는 바코드 같은‘ 코드’를 콘셉트로 차용한 이유는 무엇이며, 이러한 입면 스터디에 대한 과정을 설명해달라.
사람들은 서로가 소통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또는 정보를 내장하기 위해서 다양한 코드를 사용한다. 이러한 다양한 코드들은 전파를 통해 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전달되는데, 건축가는 건축물이 이러한 소통의 수단이 되고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이 된다고 믿는다. 여행자들에게 호텔은 숙소가 되고 정보를 공유하는 건축적 장소다. 그런 의미에서 호텔의 입면 이미지에‘ 봄’과 ‘Spring’ 코드를 삽입함으로써 봄봄의 경쾌한 이미지를 솔직하게 담아냄과 동시에 유해한 주변환경을 제어하는 역할을 해내도록 하였다. 입면상에 코드라는 디자인 요소는 단순히 창을 내어 건축의 기능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닌 주변의 밝지 못한 모습들을 제어하면서, 이 호텔의 경쾌한 이미지가 창을 통해 빛이 흘러들어오고 나가게 하는 디자인 요소로 사용되어진 것이다.

주변지역의 관계성을 찾아 연결하는 것 또한 건축가의 몫이다. 여기에 적용된 예인건축의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이 대지가 가진 주변과의 관계성은 건축물의 용도와 역할이 이미 그 연결 고리를 갖는다. 모텔과 유흥가가 즐비한 지역에 같은 용도이지만 완전히 다른 이미지의 <봄.봄 호텔>이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본다. 솔올지구 내에서뿐만 아니라 강릉 전체로 보았을 때 기존 관광지로서, 또한 평창 동계올림픽 빙상경기 개최도시로서 무엇인가 새롭고 변화하는 트렌드를 보여주기를 기대하는 맥락에서 <봄.봄>은 그 주변과의 관계성을 맺은 것이다. 주변의 다른 숙박시설들이 담으로 주변과의 관계성을 차단한 반면 <봄.봄>은 가로수 아래 낮은 돌담과 벤치가 행인들의 쉼터가 되고, 2층의 카페는 아침에는 호텔 손님들의 조식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저녁에는 외부인과 함께 사용가능한 공간으로 만들어 주변과 소통하고 관계를 맺는 기능을 부여하였다.

기존의 다른 호텔들과 달리 갖는 차별성은 무엇인가?
이미 서울이나 다른 도시에서는 중?저가의 호텔들이 많이 공급되었지만 관광도시인 강릉은 최고급 호텔 아니면 모텔 그리고 펜션 형태의 숙박업로 양분화되어 있다. 아쉽게도 외국인 여행객이나 젊은층이 조식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으면서도 너무 고가가 아닌 소규모 호텔이 없는 현실이여서 그 틈새 시장인 부티크 호텔을 <봄.봄>을 통해 시도하였다.

건축물에 쓰인 주재료는 무엇이며, 건축가가 어떻게 재해석해서 사용하였는지 궁금하다.
지나가는 사람들로 하여금 <봄.봄>만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봄이다. 봄”이라고 되내이며 봄을 맞이하는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재료를 찾아내는 것이 가장 큰 숙제였다. 따스한 느낌을 주는 재료로써의 벽돌이 봄의 이미지에 가장 적합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전의 프로젝트 작업에서 벽돌에 지형을 형상화해 해본 경험이 있어서 개인적으로 친근하였기 때문에 벽돌만이 가진 매력과 특징을 살릴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벽돌 중에서도 밝은 봄의 느낌을 표현하고자 하였고, 부티크 호텔로서의 모던함만을 강조하기보다는 재료 자체로 여행자의 추억을 담을 수 있는 따스함을 가지게 하고 싶어서 고벽돌이란 재료를 사용하게 되었다. 벽돌쌓기 방법을 3가지로 만들어 계단실과 1층 프론트의 코너 창부분을 공간쌓기를 통해 도시의 야경에 내부의 빛을 흘려보내려고 하였다. 닫힘이 아닌 열림의 모습을 벽돌쌓기의 다른 방법을 통해서 표현한 것이다. 2층 카페의 남측과 동측 발코니 외부의 고벽돌 노출쌓기는 외부의 재료이면서도 내부의 재료가 되어 외부의 이미지를 내부로 전이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상부의 수직적 매스에서는 돌출쌓기를 하여 매스감과 벽돌만의 재질감을 강조하였다.

호텔 내부에 적용된 디자인 콘셉트는 무엇이며, 건물 내부와 외부의 디자인이 어떻게 연결되는가?
오래되고 따뜻한 느낌의 고벽돌과 목재, 새롭고 차가운 느낌의 콘크리트, 철제, 에폭시 코팅 등은 상반될 수도 있으나, <봄.봄 호텔>의 포근함과 숙박시설의 특성상 세련된 느낌은 상존해야만 하는 숙제였다. 전체적으로 내부 디자인은 절제되고 모던한 디자인을 추구하였다. 건물 외부의 고벽돌과 유로폼 노출의 외장을 내부로 끌어들이고자 2층의 Double B 카페에 폴딩도어를 설치하고 바닥은 에폭시 코팅으로 마감하여 공간이 이어지도록 계획하였다. 발코니 외부의 코드화된 외벽은 외부와의 공간적 분리와 동시에 소통하는 관계성을 가지도록 하였고, 상부 객실의 경우 벽지와 페인트, 철제와 목재 등의 내부마감과 단순한 가구를 통해 모던하고 세련된 공간이지만 <봄.봄>의 포근하고 경쾌한 느낌이 가늘고 긴 코드화된 창들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도록 하였다.

호텔이라는 프로그램상 최대의 객실수가 요구되어지기 마련이다. 경제적인 가치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어떠한 설계디자인 또는 공간구성이 반영되었는가?
초기계획단계에서 이 대지에 대한 주차대수를 검토한 결과 지상 주차장의 최대한도가 9대로, 이에 따른 용적률의 가이드 라인이 결정되었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건축 예산에 맞추어 면적을 산정해야 했기 때문에 그에 맞는 전체적인 매스가 나왔다. 초기 계획보다 사업비가 축소되는 과정에서 지금의 규모가 정해졌고 무리하게 비용을 늘려 기계식 주차와 연면적?층수를 높이려 하기보다는 클라이언트의 예산에 맞게 계획하느라 객실의 수가 줄어들기도 하였다. 5층의 경우, 복층으로 3개의 객실이지만 스위트룸에 전용 테라스를 둠으로써 오히려 좋은 디자인 요소로 작용하였다.
스탠다드룸으로 개수만을 늘려 채우기에는 예산뿐만 아니라 설계의도와도 맞지 않았으므로 건축주가 직접 경영하기에도 적당한 규모이며 예산 내에서 무리하지 않는 객실 수로 결정하였다. 복층 객실을 두 개로 나눈다면 총 15개에서 18개의 룸으로 늘어나겠지만 이보다는 지금의 전용 테라스를 갖춘 3개의 스위트룸이 이를 원하는 수요에 대응하고 <봄.봄 호텔>의 전체적인 경제적 가치와 공간의 다양성을 높이는 것이라 판단했다. 결국 작은 부티크 호텔에 7가지 타입의 다양한 평면을 만들 수 있었다.

인터뷰이: 최이선(건축사사무소 예인)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11월호 [Monthly Issue]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