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dea Project
RESIDUAL LIVING
Rafael Berges



잔여 주거 <잔여 주거(Residual Living)>는 집합주거의 기준으로 주거단위들을 개별화하는 방식을 거부하고 그 사이의 공유 공간에서 공적 생활을 가능케 하려는 도시 주거의 제안이다. 여기서 주거단위들 사이에 형성되는 균열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간의 경계를 재정의한다.
주거는 우리의 공적?사적 생활을 정의하는 경계이고, 그에 따라 공적 영역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주거단위들 사이에 '틈새' 공간이 생겨나게끔 배치를 조정하면, 새로운 유형의 공적 영역들을 만들어낼 수 있다. 더 작은 규모로 계획할수록, 공적 공간을 매개하기가 더 쉬워지고 그로 인해 사적 영역이 구성된다. 뉴욕 시는 집단성과 고밀화라는 현대적 개념들을 예증하는 대표적 사례다. 뉴욕 시의 주거는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건축면적과 일조권 및 통풍, 적정 환기를 극대화하는 주거단위 배치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왔다. 이러한 접근은 이웃집과 복도와 벽을 공유하지 않는 이상 서로 관계를 맺지 않는, 고도로 개별화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주거단위들을 만들어냈다.
이 건물의 대지는 옛 법정 공동주택과 전형적인 공원 속 타워들 사이에 있는 맨해튼 도시 블록으로서, 자연스럽게 틈새적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각 필지는 같은 크기의 주거단위로 채워지고, 동일한 면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방식은 평면적으로나 단면적으로나 주거단위들 사이에 다양한 틈새 공간들을 만들어내고, 이러한 틈새 공간들의 성격은 실내의 성격과 병치된다. 실내가 직선적이고 모듈적인 데 반해, 틈새 공간들은 디자인의 초점인 공간적 볼륨들을 곡면적으로 에워싼다.
이러한 공간적 볼륨들은 주로‘ 근린지구 스케일(neighborhood scale)’과‘ 근린 스케일(neighbor scale)’이라는 두 가지 범주에 속한다. 근린 스케일은 주거단위들이 서로 긴밀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최대한의 밀도로 집중되기 때문에, 두 주거단위 간에 더욱 내밀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근린지구 스케일은 3개 이상의 주거단위들이 느슨하게 모여 그 사이에 시각적 연속성이 존재하는 더 큰 공간적 볼륨을 만들어낸다. 발코니들은 각 주거단위 내부에 있는 사적 공간을 확장하며, 보행로들은 주거단위들을 더 큰 공간적 범위에서 연결한다. 그 결과 형성된 도시 집합주거는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 사이의 경계를 흐려 인간적 다원성을 풍부하게 하는데, 이는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사이에서 인간의 조건을 더욱 자연스럽게 연결하려는 것이다.

글 제공: 라파엘 베흐제


[Residual Living] is an urban housing proposal that rejects the individual unit as the basis for collective living and instead proposes the shared interstitial space between housing units as the generator of public life. The cracks formed between units redefine the threshold between the public and domestic realm.
Housing is the threshold that defines our public and domestic lives and it is therefore the point where the public realm begins. If the aggregation of housing is re-shifted to provide ‘in-between’, or interstitial spaces between units then new types of public realms can be created. If one’s conception of public is smaller, then one has more agency over that public space and it therefore becomes domesticated. New York City is the quintessential embodiment of modern conceptions of collectivity and densification. Over the course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the evolution of New York City Housing emphasized the aggregation of housing units to maximize lot coverage, access to light & air, and proper egress. This approach resulted in highly individualized housing units existing as separate entities that do not relate to one another except through shared corridors and party walls. The site is a Manhattan city block that sits between old law tenements and towers in the park typologies, naturally evoking an in-between condition. Each lot is filled with the same sized unit and is arranged to cover the same lot area.
This aggregation method creates a variety of spaces between the units in plan and in section the character of the interior is juxtaposed with that of the in-between spaces. The interiors are rectilinear and modular while the inbetween spaces are curved to envelop volumes of space-these spaces become the focal point of the design. These volumes of space fall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neighborhood scale and the neighbor scale.
The neighbor scale is where the units are most densely packed to create close proximities between units where more intimate interactions can occur between two units. The neighborhood scale is where 3 or more units are loosely packed to create larger volumes of space with visual continuity across them. Balconies become an extension of the domestic space held within each unit and walkways connect units across larger spaces.
The result is urban multi-family housing that enriches human plurality by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public and domestic space in order to allow the human condition to flow more seamlessly between the two realms.

Text offer: Rafael Berges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11월호 [New Project]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