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ean Project :
대산공장 사무동 및 기숙사
Daesan Chemic al Factory Offic e-Dormitory Complex

신승수 + 임상진 + 최재원/ 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



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
신승수_ 서울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및 네덜란드 베를라헤 건축대학원(Berlage Institute)을 졸업하였으며, 공공성에 관한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부터 (주)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를 설립·운영하고 있으며, 성균관대 건축학과 겸임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제1회 젊은건축가상(2008),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2010), 한국건축문화대상(2013)을 수상하였고, 2010년에는 베니스 건축비엔날레 전시작가로 선정되었다. 저서로는‘ 슈퍼 라이브러리’‘, 공존의 방식’‘, 미술관의 입구’‘, 공공을 그리다’ 등이 있다.
임상진_ 서울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쳤다. 범건축과 김이건축을 거쳐 아름건축에서 소장으로 재직했다.
2006년부터 (주)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를 설립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광운대학교의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2005년 금릉역사 현상설계 당선(아름), 서울시청사 증개축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상(아름), 2008년 광교신도시 호수공원 국제설계공모 3등(디자인그룹오즈)을 수상했다.
최재원_ 서울대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쳤다. 범건축 거쳐 2007년부터 (주)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를 공동운영하고 있다.
2013년 신진건축상 대상, 2013년 농촌건축대전 대상, 2015년 인천시 건축상 대상, 2016년 서울시 건축상 대상을 수상하였다.


Loop of Events 이 프로젝트는 중화학 공업단지 속에 위치한 작은 사무동이다. 주변의 거대한 플랜트 사일로들과 마찬가지로 원형의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주변과 어울리되, 개성적인 방들로 연결된 집합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각각의 방들은 내부 사용 행위의 특성(빈도, 연계성, 공간적 조건 등)에 따라서 상호 연결시키거나 떨어뜨려 놓았으며, 향 조건 및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방의 깊이와 폭, 방향을 조정하였다. 또한 각각의 방들은 저마다 특별한 외부 풍경으로 열린 뷰를 갖은 한편, 위요된 내부 중정으로도 열림으로써 모든 방들은 안팎으로 서로 다른 풍경 사이에 위치하는 투명한 경계 공간이자 여러 겹의 공간들과 대면하는 깊이 있는 공간으로 계획되었다. 대청마루를 포함한 한옥의 여러 칸들이 마치 원형의 고리처럼 이어진 형태라고 볼 수도 있다. 한옥의 마당처럼, 이 작은 사무동에서도 중정은 가장 중요한 공간이다. 모든 방들이 면해 있는 원형지붕 중앙의 커다란 중정을 비롯해서 방들 사이사이에 위치한 작은 중정들을 합쳐서 모두 네 개의 중정들이 계획되었으며, 각각의 중정의 중심에는 나무를 심어두었다. 이 나무들은 방들과 짝을 이루면서 시각적인 지표나 가림막 역할을 하는 외부 활동의 거점이 된다.
사무실, 회의실, 식당으로 구성된 1층의 공적인 방들과 대표이사실, 공장장실, 당직실, 기숙사로 구성된 2층의 사적인 방들은 원판 모양의‘ 그린 데크(green deck)’를 사이에 두고 위?아래로 연결되어 있다. 그린 데크는 사적인 방들이 함께 공유하는 정원과 마당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1층 공간의 지붕 역할을 하고 열저장매체(Thermal mass)로도 기능하다. 또한, 내부의 중정들과 중정 안의 나무들을 보호하고, 공적인 방들 각각에 적합한 빛과 그늘을 제공함으로써 삭막한 공장지대 안에 오아시스 같은 쉼터가 된다.
대산화학공장 사무동은 그린 데크를 매개로 사적인 공간과 공적인 공간, 업무의 공간과 거주의 공간, 거대한 공장 스케일의 공간과 작고 인간적인 스케일의 공간, 하나의 방과 인접한 방, 그리고 내부와 외부가 서로 관입하고 대면하는 공간이라고 말할 수 있다. 관입하고 대면하는 서로 다른 공간들이 사건의 고리(loop of events)를 만드는 공간, 그래서 사건을 담는 방들로 연결된 집합의 공간이 바로 이 프로젝트에서 그려보았던 특별한 풍경이었다. 거대한 공업단지들의 사일로들을 배경으로 닮았으되 다른 형태로, 따로 또 같이 존재하는 즐겁고 창의적인 사무공간으로 사용되기를 기대해본다.


이 프로젝트의 대지(주변환경)가 갖는 특성은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건축물에 반영되었는가?
건물이 위치한 곳은 공업단지 진입로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생산공장과 마주하는 동측 경계부다. 입지는 향후 공장이 확장될 경우에 접근과 관리가 쉬운 새로운 입구를 예측하여 결정하였다. 하지만, 미래에 개설될 진입도로의 정확한 위치를 예단할 수는 없기 때문에, 주변환경과 유연하게 관계지을 수 있는 원형의 공간구조를 채택하게 되었다. 한편, 거대한 원형 플랜트 사일로들로 둘러싸인 중화학 공업단지의 풍경을 닮은 원형 매스를 기초로, 그 중심에는 자연을 끌어들이는 비움의 방(inner court)을 두고, 그 외곽에는 공업단지에 군데군데 섬처럼 남아있는 보존녹지를 향해 열린 다양한 기능의 방을 덧붙이고 연결하여, 각각의 방들마다 안팎이 공존하고, 생산과 휴식이 공존하고, 다양한 기능들이 연속하는 사건의 컨베이어벨트(event conveyor belt)와 같은 공간을 만들고자 하였다.

설계를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이슈가 된 주안점은 무엇인가?
이 건물은 사무동 건물이라면 으레 있을법한 복도가 없고, 통제된 입구도 없고, 후면에 위치한 방도 없다. 연속한 방들이 연결고리 형태를 이루어 안팎으로 열린 구성이기 때문이다. 이런 형태를 계획하면서 주안점을 두었던 것은 전체 공간을 연결하는 동선과 실들 각각의 사용 빈도에 대한 고려였다. 사용의 특성을 고려하여 방과 방을 연결하거나 떨어뜨려두었고, 개방감의 정도와 공간의 깊이, 그리고 채광의 강도 등을 조정해 나갔다.
물론 이러한 조정작업은 외부적 요소를 내부적 요구와 맞추어가는 프로세스였다. 예컨대 일조환경이나 맞은편 공장동의 작업 프로세스 등등이 바로 그러한 것들이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주안점을 둔 공간은 이들 각각의 공간들이 공유하는 하나의 지붕인 옥상정원 계획이다. 역보로 구성된 최상층 슬라브 위에 충분한 토심을 계획해 두어서 다양한 식재가 가능하고, 동시에 건물 전체의 축열체(thermal mass)로 기능하도록 하였다. 이곳은 각각의 방들이 연결되는 곳이자 외부와 내부 동선이 만나는 곳이고, 화이트 컬러와 블루 컬러가 만나서 그린 컬러가 되는 곳이라고 하겠다.

클라이언트의 특별한 요구사항은 무엇이었고, 어떻게 설계로 이어졌는가?
클라이언트는 디자인에 관해서는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독려해주었고, 개별 프로그램의 세부적인 규모와 기능별 고려사항, 그리고 건물의 운영계획 등에 대한 정보와 의견을 주었다. 디자인 과정은 클라이언트와의 대화(dialog)였으며 그 대화의 다이어그램(diagram)이 그대로 건축물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하나의 건물에 노사(勞使)가 공존하는 건물의 쓰임에 있어, 이 예민한 관계를 어떠한 공간 구성으로 풀었는가?
2층에 위치한 기숙사와 1층과 2층에 걸쳐 있는 사무동은 각각의 입구와 각각의 마당, 그리고 각각의 뷰(view)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동시에 더 넉넉하고 더 개방적인 옥상정원을 공유하고 있다. 공존이 가능하려면 서로에게 가치 있는 것을 만들어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각각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공동의 공간으로 연결되는 형식을 만들면, 사적인 공간이 공동의 공간으로 스며들면서 점유되고 관리되기 시작한다고 생각한다. 노사가 공존하는 형태를 취한 것은 배려의 문제가 아니라 가치 있는 자원의 공유의 문제다. 제5의 입면인 옥상은 누구도 손해 보지 않고 덤으로 얻는 공간이며, 삭막한 중화학 공업단지 안에 오아시스와 같은 휴식의 공간이니 함께 관리해야 지속적으로 누릴 수 있는 것이다.

건축물의 주 재료에 대한 특성을 건축가 나름대로 재해석한 부분이 있다면?
외장은 온도와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진공 세라믹 도료로 마감하였다. 오피스와 같이 간헐적으로 사용되는 공간에서는 냉난방 반응속도가 빠른 내단열 방식이 더욱 효율적이라고 생각했고, 옥상정원이라는 축열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중정 바닥은 자갈과 원형 디딤석을 패턴화하여 포장하는 등, 저렴한 재료를 색다르게 사용하고자 했다.

‘공유지붕시리즈’ 2탄인 이 프로젝트와 더불어 1탄인 소소만가(하남미사 다가구 주택), 이 두 프로젝트의 공유지붕은 무엇을 위한 건축유형 또는 대안인가? 이를 통해 오즈 건축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두 프로젝트 모두 제5의 입면이라고 할 수 있는 공간, 연면적에는 계산되지 않는 덤으로 얻을 수 있는 공간인 옥상을 서로 다른 사람들이 나누어 쓰는 방식을 시도해 본 것이다. 소소만가에서 옥상은 각각의 주택 다락을 통해서만 접근되는데, 이러한 동선체계를 통해서 옥상 공간의 구체적 쓰임과 모임이 유도되고, 관리되고, 사용되는 말 그대로 집의 연장이 되는 것을 기대했다.
한편, 대산공장 사무동은 사무실 내부에서도 외부에서도 옥상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공간 구성방식을 취하고 있다. 주택과 달리 옥상을 점유하는 기숙사와 사무동 상호 간의 이격거리도 충분하고, 사용 시간대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면서 옥상공간 전체를 공용의 홀(hall)처럼 사용할 수 있었다. 하남미사 다가구주택이 옥상을 정원이라는 목적형 공간으로 만든 것이라면, 대산공장 사무동은 옥상과 중정을 포함한 외부공간을 모든 공간에 연결하는 연결형 공간으로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겠고, 이들 프로젝트를 통해서 사회적(社會的)이라기보다는 사회적(私會的) 공동공간, 즉 이미 나누어진 것을 덜어내서 공유하는‘ 뺄셈의 공유’ 대신에, 새롭게 창출된 여분의 가치를 나누는‘ 곱셈의 공유’ 가능성을 보여주고 싶었다.

인터뷰이: 신승수(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

건축문화편집부 (archious@ancbook.com)
건축문화 2016년 12월호 [Monthly Issue]페이지 © 에이엔씨출판(주)